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전소식] 대전시, 민방위 비상급수시설 세균 기준치 초과 시설에 대한 강화대책 보고회 개최 - 하슈(HASHU)

사회일반

by HASHU 편집부 2019. 10. 16. 23:42

본문

민방위 비상급수시설 수질안전성 강화대책 보고회


무슨 일이지?


 1. 대전시는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에 대한 미생물, 일반세균, 총대장균군, 자연방사성물질 뿐만 아니라 A형 간염바이러스 등 총 50종에 대한 수질검사를 실시했습니다.

 2. 검사결과 A형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오염원유입으로 일반세균류가 전체 민방위 비상급수시설(103곳)의 45.6%인 47곳에서 검출되었습니다. 또 자연방사성 물질은 전체의 27.1%인 39곳에서 기준치를 초과했습니다. 

더 알아보기
해부터 라돈이 먹는 물 수질검사항목으로 포함됨에 따라 시 보건환경연구원 주관으로 먹는 물 공동시설 144곳 전수에 대한 정밀수질검사를 실시했다

대전시는 기준치 초과 시설은 즉시 임시폐쇄 조치하고, 세부사항은 이달부터 자치구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에게 공개할 계획이다.


 3.
대전시는 수질검사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 그 원인과 대책을 구분해 수질안정성 강화대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더 알아보기
일반세균류가 검출된 시설은 배관청소염소소독을 통해 수질을 개선하고 나아가 급수 시설 내 자외선(UV) 살균기 설치 등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고농도 방사성물질 검출 시설에 대한 보다 근본적 대책(정수 및 폭기설비 설치) 마련을 위해 학술용역 및 시범사업 추진하고, 한국지질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맞춤형 라돈저감 장치를 개발하고 공동특허도 출원할 계획이다.


 4.
그리고 시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비상급수시설(195곳)을 새롭게 마련할 예정입니다. 

대전시 입장
한편, 대전시의 이번 도심 속 생활주변의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의 수질안전성 강화 대책마련은 지자체에서는 처음 선제적으로 마련한 예방대책이란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대전시 박월훈 시민안전실장

생활주변에 설치된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은 기상학적, 지형적 영향으로 겨울철 가뭄현상 지속에 따른 물 부족 문제에 대한 대안일 수 있다민방위 사태 뿐만 아니라 일반 재난 발생 시에도 시민들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먹는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고 말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