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온 이 날에
우리가 마주한 이 순간에
같은 곳을 바라보며
우리 웃을 수 있게 I go
<I Go> 메인 코러스 가사에서
앨범의 음악들은 김지연의 목소리와 닮아있고, 닿아있다.
러블리즈의 음색과 비슷하지만 솔로 활동에서 필요 없는 힘을 뺀 연한 색의 앨범이 된 것이다. 이 연한 색은 피아노와 어울린다. 그리고 피아노는 김지연의 보컬과 어울린다. 맑고 청량한 사운드가 무엇인지 잘 알려준다. 발라드에서 흔한 애절함보다는 동화같은, 모험같은 반짝임을 선물한다. 오랫동안 러블리즈의 메인보컬로, 여러 음악 활동으로 쌓아온 목소리가 앨범에 합류한다.
그래서인지 앨범은 처음부터 김지연의 목소리를 들려주지 않는다. 피아노로 시작하는 짧은 인트로가 먼저 맞이해 준다. <Back in the Day>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음악은 현실의 시간과 다르게 흘러간다. 인트로는 힌트를 준다. 김지연이 이 앨범에서 어떤 음악을 할 것인지 우리는 어림짐작할 수 있게 말이다. 인트로의 피아노, 스트링(현악 세션)은 단순히 동화 같은 느낌을 주는 데에 그치지 않고 앨범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분위기가 된다.
이 분위기는 정확하게 타이틀곡 <I Go>가 받는다.
<I Go>는 이미 러블리즈 때 합을 맞춰보았던 탁(TAK)이 작사, 작곡으로 참여했다. 그리고 멜로망스의 멤버로 유명한 정동환이 편곡에 이름을 올렸다. 최근에 레드벨벳의 <눈 맞추고, 손 맞대고 (Eyes Locked, Hands Locked)>에 편곡에 참여한 정동환이었기 때문에 이번 앨범의 참여도 그리 어색하지는 않았다. 노래 자체는 탁(TAK)이 러블리즈 때 보여주었던 분위기와 유사하다.
그래도 이 노래가 러블리즈의 노래와 다르다고 느껴지는 이유는 피아노의 전진 배치일 것이다. 피아노는 김지연의 목소리와 어울려 러블리즈 때와 다른 새로운 산뜻함을 만들어냈다. 이 분위기는 초반부터 코러스를 크게 내세우지 않는다. 후반부 피아노가 점차 줄어들고 스트링이 이어받을 때 코러스를 웅장하게 변환시킨다. 이 연출은 뮤지컬스러웠지만 김지연의 발성이 동화적으로 바꾸어놓는다. 이를 의도했다면 성공적인 이음새라고 볼 수 있다. 무난하지만 그렇다고 무시할 수 없는 타이틀곡이다.
이어지는 <Dreaming>에서도 피아노가 중심이다. 작곡가 SEION는 <Close To You>로 러블리즈 앨범에 참여한 바가 있었지만, 이번에는 완전히 다른 분위기의 곡을 가져왔다. 아마 앨범의 분위기에 맞춘 작곡으로 보인다. 이 역시 <I Go>가 그랬듯이 분위기를 정면에서 이어받는다. 앞선 곡과의 유사성은 분위기의 일관성을 유지하게 만든다. 피아노가 나오고 중간부터 스트링으로 바뀌고 코러스가 강조되는 형식은 타이틀곡과 같다.
다만 백그라운드 음악이 유기적으로 바뀌는 과정은 <Dreaming>이 조금 더 활동적이다. <I Go>보다 정통 발라드에 가까우며, 동화적인 느낌은 많이 사라졌다고 볼 수도 있다. 그래서 유사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타이틀곡의 타이틀은 <I Go>에게 얹어질 수밖에 없었다. 김지연의 보컬 아니면 특색이 부족한 곡이었다.
이어지는 <종이달>은 앞선 곡들과 결이 다른 노래다. 피아노가 아닌 일렉트로닉 사운드와 베이스가 유기적으로 작용한다. 앞의 곡들이 러블리즈 풍의 발라드를 차용했다면 이번에는 R&B 스타일을 가져온다. 이 스타일은 김지연의 보컬을 산뜻함보다는 성숙하게 만들어준다. 이미지나 분위기 반전을 노리고 집어넣은 트랙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해서 앨범의 분위기를 해치지 않는다. 초반 도입부는 노이즈를 제외하면 산뜻했던 피아노의 역할을 비슷하게 해낸다.
다시 피아노가 등장하는 <Cry>는 <Dreaming>때의 분위기를 재현한다. 서정적인 분위기에 어우러지는 김지연의 보컬은 안정감 있는 곡을 완성한다. 앨범을 닫는 <이 비(雨)>에서도 피아노와 스트링은 노래의 중심을 잡고 있다. 마지막 두 발라드 트랙으로 앨범은 산뜻함을 애절함으로 가져가려고 한다. 이러한 기승전결식의 구성은 조금 아쉬움을 준다. 인트로의 분위기와 타이틀곡의 분위기를 이렇게 평범하게 마무리하기에는 김지연의 보컬은 아쉽기도 하다. 이러한 발라드는 너무 흔하다.
그럼에도 앨범은 한 명의 솔로를 알리기에는 충분했다. 산뜻함과 애절함으로 양분되는 앨범, 이 분위기를 피아노와 김지연의 목소리로 정리하는 앨범. 욕심 없이 듣는다면 편안하고 가을하늘 같이 맑고 시원하다.
글 노예찬
편집 하슈
[앨범이야기] 조용한 힘(力) : 오브 몬스터스 엔드 맨(Of Monsters and Men), 《Fever Dream (2019)》 (0) | 2019.10.13 |
---|---|
[앨범이야기] 드림캐쳐에게 어울리는 외전(外傳) : 드림캐쳐, Special Mini Album 《Raid of Dream》 (0) | 2019.10.12 |
[앨범이야기] 피아노와 산뜻함과 김지연(Kei) : 러블리즈 케이(김지연), 《Over and Over (2019)》 (상) (0) | 2019.10.11 |
[스포츠] 한화 이글스 영구결번 정민철, 한화 단장직 수락…추락한 한화 되살릴 수 있을까? (0) | 2019.10.10 |
[정보] 조심하세요, 갑자기 증식한 화상벌레에 대해 (0) | 2019.10.10 |
댓글 영역